ESG란 무엇일까?
그리고 왜 중요할까?
2021년 요소수 사태를 떠올려보자. 국내에서는 요소수를 생산할 수 없기 때문에 전량을 해외에서 수입해서 만들어야 한다. 중국에서 요소수출을 하지 않았을 때 우리나라는 부랴부랴 호주에서 요소수를 수입해야 했다. 만약 그 마저도 불가능했다면 요소수를 사용하는 모든 차량, 특히 트럭을 비롯한 거의 모든 디젤 차량이 운행이 어려워지고, 디젤 차량이 움직이지 못하면 휘발유나 경유를 실은 연료트럭도 움직일 수 없고, 대부분의 국내 물류가 마비됐을 것이다. 이 모든 일들이 요소수 생산시설과 대체제 미비로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2020년 반도체 부족사태도 비슷한 맥락이다. 중국의 SMIC에 반도체 수급을 의지한 탓에 전세계 반도체 시장이 생산이 지연되거나 정지되는 사태가 일어났다. 각국이 지금보다 반도체를 더 충분히 생산할 기반을 마련해 놓았다면 펜데믹 기간에 반도체 시장은 더 좋은 상황으로 흘러갔을것이다.
이제 기업은 단순히 수익을 어떻게 극대화할 것인가 뿐만 아니라 어떻게 사업을 건강하게 지속할 것인가 혹은 어떻게 원자재나 자원공급망을 구축할 것인가 대해 심각하게 고민해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다. 비즈니스 모델의 지속가능성과 관련하여 가장 주목받고 있는 의제가 바로 ESG다.
ESG는 환경(environment)과 사회(Social), 지배 구조(Governance)의 앞 말을 줄여 만든 용어로 ‘지속가능한 발전’에서 기업의 지속적인 생존과 성장에 직접적인 핵심가치를 환경, 사회, 지배구조로 묶어서 말하게 된 것이다. ESG와 관련한 개념으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공유가치창출(Created Social Value), 기업 시민의식(Corporate Citizenship),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 Triple Bottom Line 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ESG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차원을 넘어 하나의 중요한 평가 및 투자 기준으로 고려되고 있다.
ESG를 각 항복별로 좀 더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면 다음과 같다.
환경
Environmental
환경에 해당하는 세부 항목들에는 기후변화 및 탄소배출, 대기 및 수질오염, 생물의 다양성, 물 부족, 폐기물 관리, 동식물보호, 토지이용, 에너지사용(신재생에너지), 원자재 채굴, 환경 관련 법 규제 위험, 재활용 등이 있다. 기업이 친환경적인 생산, 판매, 경영을 전개한다면 우리 사회 전체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사회
Social
사회에 해당하는 세부 항목들에는 고객만족, 데이터보호 및 프라이버시, 성별 및 다양성, 직원참여, 인권, 노동기준 등이 있다. 사회책임이 투자에 있어 중요한 이유는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지속적 이윤획득이 가능한 환경이 필요하기 때문이고 사회적 책임 경영은 단순한 기부활동이 아닌 기업이 활동하는 물리적 사회적 환경을 적극적으로 책임지고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배구조
Governance
지배구조에 해당하는 세부 항목들에는 이사회 구성, 감사위원회 구조, 실적 악화로 직결되는 불상사의 회피, 부패 정도, 임원 성과, 보상 및 정치기부금과 내부고발자 제도 등이 있다.
최근엔 대기업과 공기업에서 ESG 공시, 즉 ESG를 얼마나 잘 준수하고 있는지를 공개하고 있다. ESG 공시는 투자사들이 어느 기업이 지속가능한 경제모델을 가지고 있는 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그러므로 각 기업들은 ESG 컨설팅을 통해 ESG 평가 요소를 잘 관리하고 공시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단순히 투자유치가 아니라 안정적인 경영을 위해서도 그러하다. 환경적으로 사회적으로 지배구조적으로 지속이 가능한지 잘 검토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러한 현상황에서 5명의 지에스랜드 임직원들은 공신력을 갖춘 교수진과 현장 실무진을 갖춘 현미네르바 온라인 칼리지에서 ESG컨설턴트 과정을 수료하였다. 그리고 시험을 거쳐 ESG컨설턴트 자격증을 취득하여 당사가 지속가능한 기업으로 먼저 성장할 수 있도록 준비하였다. 지금도 지에스랜드 임직원들은 어떻게 사업을 건강하게 지속할 수 있는지 끊임없이 고민하며 실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당사의 노력이 한국의 기업문화를 지속가능한 사업으로 선도하길 바라는 바이다.
인용처: ESG 경영의 이론과 실제, 이학춘, 서림, 2022, 1p, http://www.lifein.news/news/articleView.html?idxno=11909, https://esg.krx.co.kr/contents/01/01010200/ESG01010200.jpg